Running Knowledge Hub

템포·Zone 2·인터벌까지, 핵심 러닝 이론과 실전 팁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훈련 계획을 세울 때마다 찾아보는 개념과 용어, 강도 설정 공식을 카드 형식으로 정리하고 관련 계산기로 즉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Zone 2 전략 80/20 분배와 회복 루틴으로 안정적인 장거리 베이스를 구축합니다.
템포 · LT 활용 레이스 8~12주 전 필요한 LT·크루즈 세션을 손쉽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회복 & 근력 부상 예방과 피로 관리 팁을 카드로 정리해 실천이 쉬워집니다.

빠른 탐색

🔥

템포 러닝 (Threshold)

젖산역치 부근 페이스로 20~40분간 달리며 페이스 지구력과 젖산 처리 능력을 높이는 훈련입니다. 숨이 차지만 대화가 짧게 가능하고, 레이스 페이스보다 약간 느린 수준을 유지합니다.

  • 목표 심박/페이스: LT 페이스 또는 최대심박의 88~92% (젖산역치 계산기로 확인)
  • 권장 빈도: 주 1회, 인터벌과 같은 주에 배치 시 간격 48시간 확보
  • 추천 흐름: 10분 워밍업 → 템포 블록 20~30분 → 10분 쿨다운
🌱

LSD · Zone 2 롱런

Long Slow Distance는 주간 훈련의 기초를 담당합니다. Zone 2 강도로 오랜 시간 달리며 미토콘드리아 밀도, 지방 연소 능력, 심폐지구력을 강화합니다.

  • 목표 심박: 최대심박의 60~70% 또는 Karvonen 기준 65~75%
  • 거리/시간: 마라톤 준비 시 주간 최장 러닝, 90~120분 이상 권장
  • 실전 팁: 마지막 20% 구간을 약간 빠르게(Progression) 진행하면 레이스 대비에 도움

인터벌 & VO₂max 세션

짧고 빠른 반복 구간과 휴식을 번갈아 실시해 VO₂max와 최대 산소 섭취량을 끌어올리는 훈련입니다. 거리 기반(400m, 1km)이나 시간 기반(3분, 5분)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 대표 세션: 6×1km @ 5K 페이스, 휴식 90초 / 12×400m @ 3K 페이스, 휴식 60초
  • PE/RPE: 자각도 8~9, 말이 거의 불가능한 고강도
  • 회복 중요성: 고강도 세션 전후 24~48시간은 Zone 1~2로 회복
🚴‍♀️

크로스 트레이닝 & 보강

러닝 충격을 줄이면서 심폐지구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보조 훈련입니다. 자전거, 수영, 로잉, 엘립티컬 등이 대표적이며 부상 방지에도 효과적입니다.

  • 강도 설정: Zone 2~3 중심, 고강도는 러닝 인터벌 대체용으로 주 1회 이하
  • 추천 팁: 한 주당 러닝 대비 10~20% 시간으로 시작하고 필요 시 확대
  • 활용: 피로 누적 시 러닝을 대체하거나 회복일에 가벼운 크로스로 전환
🧭

Zone 2 전략 설계

Zone 2는 장기적 지구력과 회복력을 동시에 키워주는 핵심 영역입니다. 주간 러닝 볼륨의 70~80%를 Zone 2로 배치하고, 나머지 20%에 템포와 인터벌을 배치하는 80/20 전략이 널리 사용됩니다.

  • 구성 예시: LSD 1회 + Zone 2 미드런 2회 + 템포 1회 + 인터벌 1회 + 회복 조깅
  • 피로 관리: 주간 총 거리 대비 10% 이상 갑작스러운 증가 금지, 수면/영양 기록
  • 데이터 추적: 가민/스트라바에서 Zone 2 비율과 시간 추세를 확인
🛡️

근력 · 모빌리티 · 회복

강한 몸은 부상을 줄이고 러닝 효율을 높입니다. 주 2회 20분 내외의 하체·코어·힙 안정화 운동과 주기적인 스트레칭, 폼롤링을 병행하세요.

  • 필수 루틴: 싱글레그 데드리프트, 런지, 플랭크, 힙 쓰러스트
  • 회복 체크: 수면 7시간 이상, HRV·RPE 기록으로 피로 모니터링
  • 영양 전략: LSD 후 30분 내 탄수 3:단백질 1 비율, 장거리 전 전해질 보충

핵심 키워드

템포 런 (Tempo Run)
젖산역치(LT)에 가까운 강도로 일정 시간 지속하는 훈련으로, 레이스 페이스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적응력을 키웁니다.
LSD (Long Slow Distance)
낮은 강도(Zone 2)로 장시간 달리는 훈련으로, 유산소 기초, 지방 연소 능력, 근지구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인터벌 (Intervals)
고강도 운동 구간과 불완전한 휴식 구간을 반복하는 훈련으로,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과 속도 유지 능력을 개선합니다.
Zone 2
대화가 편안하게 가능한 수준의 낮은 강도 구간으로, 전체 훈련의 70-80%를 차지하며 유산소 시스템의 기반을 다집니다.

추천 계산기 & 리소스

레이스 예측기

5K부터 풀마라톤까지 목표 기록과 스플릿을 즉시 계산.

레이스 예측으로 이동 →

Zone 2 · MAF 계산기

최대심박 방식 선택으로 내게 맞는 훈련 존 설정.

심박 계산 바로가기 →

젖산역치(LT) 계산기

30분 테스트 데이터를 입력해 템포·크루즈 강도 찾기.

LT 계산 바로가기 →